사업단 소개

기업과 대학의 상호발전과 상생성장을 위한 LINC3.0 사업단

국립한밭대학교 RISE 사업단

"산학일체 교육의
세계일류대학"

국립한밭대학교 RISE 사업단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국립한밭대학교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RISE) 사업단장 우승한입니다. 한밭대학교는 1927년 개교한 이래 늘 지역사회와 국가의 발전과 함께 하였습니다. 1997년 산학협력 모델대학을 표방하고, 2004년 산학협력중심대학 사업을 시작한 이래 LINC 사업을 넘어 RISE 사업까지 30년 가까이 산학협력모델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국립한밭대 RISE 사업단은 “경제‧과학도시 대전을 실현하는 지산학연 리딩대학”이라는 비전하에, “전략산업중심 미래인재 양성”, “출연연중심 지산학연 가치창출”, “기업연계형 청년정주 촉진” 이라는 목표를 설정하였습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3대 추진전략(1. 전략산업을 지원하는 전교적 지원체계 구축, 2. 리딩그룹을 활용한 지산학연 혁신, 3. 혁신기관과 함께하는 개방형 협력)을 기반으로 적극 추진하고자 합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3대 핵심 연결프로그램(1. 지역과 대학을 연결하는 지산학연 전문가로서 산학연락관 (ILO, Industrial Liaison Officer) 제도, 2. 신속추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목표지향형 씨앗 프로젝트인 CAMP 프로그램, 3. 지역정주 의사가 있는 인재를 집중 육성하는 대전사랑 멤버십 프로그램)을 가속화하여, 대학과 지역의 지속가능한 동반성장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최근 지역인재의 끊임없는 수도권 유출과 인구절벽이 현실로 다가옴에 따라, 지방대학은 학생유치에 지역산업은 인재채용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헤쳐 나가는 길 뿐일 것입니다. 대학과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더욱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며, RISE 사업단은 앞으로 지역의 문제발굴과 대학 내 학과참여를 통한 문제해결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하고자 합니다. 사업단은 여기서 지역과 대학을 연결하는 역할에 집중할 것이며, 이들이 만나고, 논의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획기적으로 늘리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RISE 사업을 격변하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대학 혁신의 계기로 삼아,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지산학연 혁신 플랫폼 대학 실현을 위해, 지역이 신뢰하고 지역을 리딩할 수 있는 지산학연 모델 대학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국립한밭대 RISE 사업단의 이러한 도전에 학내외 여러분의 아낌없는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우승한 올림
국립한밭대학교 RISE 사업단장

이력서

    스크롤 표시 이미지
이력서
이력서에 대한 표로서 학력에 대한 주요내용입니다.
구분 내용
학력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공학사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공학석사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공학박사
    스크롤 표시 이미지
이력서
이력서에 대한 표로서 구분,기간,소속 및 직위에 대한 주요내용입니다.
구분 기간 소속 및 직위
전체분야 2004 - 현재 국립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교수
2003- 2004 POSTECH 분자생명과학과, 연구조교수
2000 - 2004 POSTECH 환경연구정보센터(DICER), 실장
2003 - 2003 POSTECH 분자생명과학과, 선임연구원
1999 - 2003 POSTECH 환경연구소, 박사후 연구원, 선임연구원
1998 - 1998 POSTECH 환경연구소, 박사후 연구원
조직경영분야 2023 - 현재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사업단장
2023 - 2023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공유협업본부장
2020 - 2022 국립한밭대학교 미래인재교육원 원장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선임부단장, 산학협력본부장
국립한밭대학교 중소기업산학협력센터장
국립한밭대학교 LINC+ 사업단 산학협력본부장
2018 - 2020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단장, 연구지원본부장
국립한밭대학교 현장실습지원센터장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교육원 부원장
국립한밭대학교 LINC+ 사업단 연구지원본부장
2017 - 현재 ㈜엘그린텍 대표이사(교수창업)
2014 - 2015 국립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학과장
2013 - 2013 국립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부원장
전문학회분야 2009 - 2010 한국화학공학회 홍보이사
공공자문분야 2010 - 2012 국립한밭대학교 교수평의회 사무처장
국제협력분야 2012 - 2013 Cornell University, Dept. of Soil Sciences, 방문교수
1998 - 1999 Northwestern University, Dept. of Civil Eng., 박사후 연구원

산학협력 및 연구 활동

특허출원 및 등록 (25건)

  • 다층막으로 된 하이드로젤 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10-1679563, 2016.11.21.
  • 은나노입자가 담지된 바이오차 및 이의 제조방법, 10-2017-0044288, 2017.4.5.
  • 흡착용 에어로젤 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10-1906799, 2018.10.04. 등 25건

기술이전 (5건)

  • (주) 덕분, 특허(팜 부산물을 이용한 친환경 저황 함유 바이오 벙커 C유의 제조 방법),이전료: 10,000천원, 2011
  • 바이오지이티(주), 특허(목재 원료의 열분해를 이용한 바이오연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바이오연료, 이전료: 현물출자 50,000천원, 2015
  • 바이오지이티(주), 특허(해조류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활성 바이오차의 제조 방법),이전료: 10,000천원, 2016
  • (주)엘그린텍, 특허(키토산을 함유하는 수처리용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이전료: 33,000천원, 2017
  • (주)조은꿈, 특허(나노/마이크로 흡착제를 포함한 알지네이트 중금속 제거용 흡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이전료: 20,000천원, 2022

수상실적

  • 국립한밭대학교 유공자 표창, 산학협력 공로상, 2021. 11. 15.
  • 창업보육센터 발전 유공포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2020. 12. 17.
  • 2018, 2020 Bioresource Technology Award for Highly Cited Research Article
  • 2011년도 LG연암재단 해외연구교수(코넬대학교) 선정
  • Bioresource Technology (IF=11.889) 2010 Outstanding Reviewer
  • 1998년도 박사후 해외연수자 장학금 (노스웨스턴 대학교), 한국과학재단 등 14건

주요 논문 (SCI(E) 96편, 국내 24편)

  • 피인용회수 5,882회, h-index: 41, i10-index: 80, i100-index: 12
  • S Chatterjee, G Ohemeng-Boahen, DD Sewu, BA Osei, SH Woo, Improved adsorption of Congo red from aqueous solution using alkali-treated goethite impregnated chitosan hydrogel capsule,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 10, 108244, 2022. 등 SCI(E) 논문 96편
  • Patrick Boakye, Chul Woo Lee, Won Mook Lee, Seung Han Woo, The cell viability on kelp and fir biochar and the effect on the field cultivation of corn, Clean Technology, 22(1), 29-34, 2016. 등 국내논문 24편

저서 (4편)

  • 기후변화에 대응할 새로운 물결 바이오차, 좋은땅출판사, 2015.3.
  • 대학일반화학실험 (편저), 사이플러스, 2011.3.
  • 화학공학실험(1), 국립한밭대학교출판부, 2017.1. 등 4편